express, mongodb
1. 새폴더에 package.json 만들기
npm init
2. 패키지 설치
npm install --save express mongoose ejs dotenv
npm install --save-dev nodemon

3. index.js / main.js 생성
- index.js : 홈화면
- main.js : 서버
4. app.set('view engine','ejs');
- ejs : Embedded Java Script. 자바스크립트가 내장되어 있는 html파일
- express에서 템플릿을 렌더링하기 위해서 필요한 설정
- 렌더링 : 서버로부터 html 파일을 받아 브라우저에 뿌려주는 과정
5. views/todo.ejs 생성, public/stylesheets/style.css 생성
6. express.staic 설정
- express. static : express에서 이미지, css파일, javascript파일과 같은 정적파일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express의 기본 제공 미들웨어 함수
app.use(express.static('public'));
: public이라는 이름의 디렉토리에 포함된 이미지, CSS 파일 및 JavaScript 파일을 제공http://localhost:3000/js/app.jsapp.use('/static', express.static('public'));
: express.static 함수를 통해 제공되는 파일에 대한 가상 경로 접두부(파일 시스템 내에 해당 경로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)
7. body-parser 설정
app.use(urlencoded({extend: true}));
8. 콘솔로 데이터 들어오는 지 확인


'Node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Express] Todo-list 제작02 (0) | 2021.06.15 |
---|---|
[Express] express generator (0) | 2021.05.28 |
[Express] Get방식의 Query string / Path value (0) | 2021.05.26 |